티스토리 뷰

임신추차 계산하는 기준일은 언제일까요? 사실 정확한 임신주차는 산부인과에서 초음파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임신 증상을 느끼거나 임테기로 임신을 확인하게 되면 몇 주가 되었을지 먼저 계산하게 됩니다.

 

그리고 가끔 "지금 내가 몇 주 차이지?" 헷갈리거나 궁금할 때가 있는데요.

 

 

임신주차 계산하는 방법(임신주차 계산기, 출산예정일 계산기)

 

 

 

그래서 정확히 계산하는 법을 알아두시면, 언제든지 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임신주차 계산하는 방법과 임신추차와 출산예정일 계산기 사용법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정부정책] - 2024 출산 육아정책(신생아 특례, 육아휴직급여, 양육비 난임가구 지원 확대)

     

    2024 출산 육아정책(신생아 특례, 육아휴직급여, 양육비 난임가구 지원 확대)

    출산을 앞두고 계신 예비엄마들은 2024 출산 및 육아정책을 어떻게 바뀌게 될지 궁금하실 텐데요. 내년 출산 예정인 엄마들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지난 8월 2024년부터 시행 될 출산지원정책이 발

    njob-dianminji.tistory.com

     

     

    임신주차 계산하는 방법

    임신주차 셀프 계산하는 방법은 잘 알고 있는 게 좋습니다. 이론상 임신주수의 시작은 마지막 생리가 시작한 날부터이며, 임신이 되면 다음 달 생리가 없기 때문에 보통 임신 사실을 알게 되면 4~5주 차가 됩니다. 

     

     

    즉, 임신주수는 정자와 난자가 수정된 날이 아닌, 마지막 생리가 시작하 첫날부터 계산하면 됩니다. 그 이유는 난자와 정자가 수정된 날짜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임신주차 계산기 사용법

    네이버에 임신주수계산기를 검색하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임신주차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마지막 생리시작일과 기준일을 입력한 후에 계산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계산 후 임신이 현재 몇 주차가 되었는지 바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임신주차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임신주차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출산예정일 계산하는 방법(+분만예정일 계산기)

    출산예정일 셀프 계산법은 임신 중 1개월은 4주 기준으로 마지막 생리 시작한 날부터 40주(280)를 더하면 출산예정일이 나옵니다. 

     

    출산 예정일 전후 2주 이내에 분만하게 되면 정상 범위이며, 출산 예정일은 어디까지나 예정일이기 때문에 아이가 꼭 그 예정일에 태어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출산예정일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출산예정일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지금까지 임신 주차 계산하는 방법과 함꼐 출산예정일 계산하는 방법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네이버에서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으니, 헷갈리시면 네이버 임신추자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건강하게 순산하시길 바라며, 오늘 글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임신 관련 인기있는 글

     

    어린이보험 가입나이 조건(현대해상, KB손해보험, 삼성화재, 메리츠화재, DB손해보험)

    어린이보험이 예전에는 35세까지 가입이 가능했지만, 올해 9월부터 15세로 가입나이와 조건에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이가 어릴 때 이왕이면 태아부터 미리 알아보고 어린이보

    jubu100.com

     

    첫만남이용권 사용처 출산지원금 알아보기

    출산지원금 중 하나인 첫만남이용권에 대해 알아보고 지원대상, 서비스 내용, 신청방법, 사용처, 사용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첫만남이용권이란? 출생 아동들에게 200만 원의 첫

    njob-dianminji.tistory.com

     

    출생신고 늦게 할 경우 기간별 과태료 알아보기

    출생신고는 아기가 태어난 후 한 달 안(30일 이내)에 꼭 신고하셔야 합니다. 출생신고 늦게 하게 되면 과태료를 부가하게 되며, 다양한 혜택을 신청할 수 없기 때문에 잊지 말고 기간 내에 신청하

    njob-dianminji.tistory.com

     

    육아휴직(부부동시) 급여 2023 신청방법, 자격요건, 사후지급금

    육아휴직은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 남녀 근로자를 대상으로 정부에서 시행하는 정책입니다. 오늘은 육아휴직 급여 신청방법,

    njob-dianminji.tistory.com

     

    저출산 주거지원 정부 정책 3가지(신생아 특공, 특례 대출, 청약제도 소득기준 완화)

    아이를 출산할 계획, 내집 마련의 계획을 가지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내년부터 시행되는 꼭 알아야 할 저출산 정부 정책 3가지 알려드리려 합니다. 무엇보다 내 집 마련 및 아이를 출산 할 계획

    njob-dianminji.tistory.com

     

    서울시, 아빠 출산휴가 의무화(10일) 일, 균형 3종세트

    서울시는 이달 6월부터 배우자가 출산하면 남성 직원에게도 출산휴가 10일을 의무적으로 부여합니다. 이러한 배우자 출산 휴가 의무사용제는 국내 처음으로 도입했으며, 배우자가 출산 시 직원

    njob-dianminji.tistory.com

     

    2023 확대된 출산 및 육아지원금 모두 알아보기

    2023 확대된 출산 및 육아지원금인 첫만남이용권, 부모수당(부모급여), 양육수당, 아동수당,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와 아이돌봄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만남 이용

    njob-dianminji.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