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27일부터 에코승용차마일리지를 '가스앱 캐시 전환' 하여 도시가스 요금을 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스앱 캐시 전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스앱이란? 가스앱은 SCGLAB사에서 개발한 도시가스 요금 조회 및 납부, 요금분석 등을 제공하는 모바일앱으로 자가 검침, 모바일 청구서 등 이용 시 가스 요금 납부에 사용할 수 있는 캐시를 제공합니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선 먼저 가스앱 회원가입을 한 후에 통합에코마일리지 누리집 또는 가스앱에 로그인 하여 적립된 마일리지를 가스앱 캐시로 전환하면 됩니다. 가스앱 캐시는 은행 계좌로 이체하여 현금처럼 사용하거나, 도시가스 요금을 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스앱 캐시 전환 서비스 서비스일: 2023년 6월 27일 이용대상: 서울도시가스, 예스코, 대..

서울 지하철 이용 시 갑자기 급하게 화장실에 가려고 개찰구 밖으로 나갔다가 재탑승 시 다시 재승차해야 하는 불편한 경험 해보셨을 거예요. 하지만 다음 달 7일부터 서울 지하철에서 하차하고 15분 이내 재탑승 시 환승을 적용하여 추가 요금을 부과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오늘은 10월 7일부터 새롭게 도입되는 서울 지하철 재승차 환승 적용 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하철 하차 후 재승차 제도란? 현행 제도는 지하철 탑승객이 실수로 내릴 역을 미리 내리거나 또는 지나치거나, 화장실을 이용하려 개찰구 밖을 나갔다가 재탑승을 하려면 요금을 내야 합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10월부터 '지하철 하차 후 재승차 제도'가 시행됩니다. 지하철 하차 후 재승차 제도는 지하철역에서 하차 태그 후 기..

국세청은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근로자 가구의 생활안정을 위하여 2022년 귀속 하반기 정산분 장려금을 6월 27일 일괄 지급합니다.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근로장려금'이 10% 증액 지급되어 단독은 150->165만 원, 홑벌이는 260->285만 원, 맞벌이는 300->330만 원/ '자녀장려금'은 부양자녀 1명당 70->80만 원이 지급됩니다. 근로장려금 단독 150 -> 165만원 홑벌이 260 -> 285만원 맞벌이 300 -> 330만원 자녀장려금 부양자녀 1명당 70 -> 80만원 단독가구는 총소득이 연간 2,200만원, 홑벌이 가구는 3,200만 원, 맞벌이 가구는 3,800만 원 이내이면서 재산이 2억 4,000만 원을 넘지 않아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지난해 9월과 올해 3월에 반기분..

올여름 에너지 요금 인상으로 경제적 부담이 걱정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한 에코 승용차마일리지 회원에게 1만 마일리지를, 10%이상 절약한 단체에 최대 1만원을 지급합니다. 오늘은 에코 승용차마일리지 에너지 요금 아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코 승용차마일리지란? 일정 기준 이하의 에너지를 단기간이 아닌 지속적으로 에너지 절약한 에코 승용차 마일리지 개인회원에게는 '지속(유지) 마일리지'를 지급하며, 단체는최대 1천만 원을 제공합니다. 적립한 마일리지는 가스앱 캐시로 전환하여 도시가스 요금으로 납부하는 서비스도 27일 시행됩니다. 에코 마일리지는 서울시민이 가정 또는 사업장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면, 혜택(인센티브)을 지급해 주는 시민참여 프로그램입니다. 승용차마일리..

7월부터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횟수가 60회로 확대(최대 6만 6000원)됩니다. 오늘은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방법, 사용방법, 신청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란? 7월부터 도입되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는 기존 '알뜰교통카드'보다 혜택이 강화된 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마일리지 적립 횟수가 월 44회에서 60회로 늘어납니다. 알뜰교통카드 플ㄹ는 대중교통 이용 시 걷거나 자전거 등으로 이동한 거리(최대 800m)에 비례하여 최대 20%의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또한, 카드사에서 약 10% 추가 할인을 제공하여 대중교통비를 총 30%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방법 마일리지 지급 기준은 월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 시 60회까지 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