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요즘 이 두 가지 이름을 자주 들어보셨을 겁니다.
바로 K-패스(K-Pass)와 K-원패스(K-One Pass)인데요.
둘 다 교통비를 아끼게 해준다는 점은 같지만, 운영 방식과 혜택 구조는 완전히 다릅니다.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두 제도의 차이점을 깔끔하게 비교 분석해드리겠습니다.
K-패스 (K-Pass) 란?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요금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환급 방식: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요금 일부 환급 (최대 60회까지)
✅환급 비율:
- 일반 성인: 20%
- 청년층(19~34세): 30%
- 저소득층: 최대 53%
✅적용 교통수단: 지하철, 시내버스, 광역버스, 마을버스, GTX 등
✅이용 방법: K-패스 카드 등록 후 자동 환급
✅추가 포인트:
- 이동 거리와 상관없이 지출 금액 기준으로 환급
- 별도 앱 설치 없이 카드만 등록하면 끝
K-원패스 (K-One Pass) 란?
K-원패스는 전국 어디서나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월 정액제입니다. 생활비 절감, 교통 혼잡 해소, 탄소 배출 감소 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이용 방식: 월 정액제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정액 요금:
- 일반 성인: 6만 원
- 청년층(10~20대): 5만 원
✅적용 교통수단: 전국의 시내버스, 광역버스, 지하철, 마을버스
✅시행 시기: 2025년 추진 중 (본격 시행 예정)
✅추가 포인트:
- 특정 지역 구분 없이 전국 통합 이용 가능
- 고속버스·시외버스 등 일부 장거리 교통수단은 제외
K-패스 vs K-원패스
구분 | K-패스(K-Pass) | K-원패스(K-One Pass) |
운영 방식 | 교통비 환급형 | 월 정액 무제한 이용형 |
비용/환급 | 사용 금액 일부 환급 (20~53%) | 월 5만~6만 원 고정 지출 |
이용 조건 | 월 15회 이상 이용 후 최대 60회까지 환급 | 월 정액 결제 후 무제한 이용 |
적용 범위 | 수도권 및 전국 대중교통 (GTX 포함) | 전국 모든 시내·광역 교통 (일부 제외) |
시행 여부 | 시행 중 | 추진 중 (2025년 이후 본격 시행 예정) |
결론
- 교통비를 적게 쓰지만 꾸준히 이용하는 사람 → K-패스 추천
- 교통 이용량이 많거나 장거리 이동이 잦은 사람 → K-원패스 추천
자신의 이동 패턴과 소비 스타일에 맞춰 선택하면, 매년 수십만 원의 교통비를 아낄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 비용, 현명하게 절약하세요!
추천 관련글 더보기
- K-원패스 등록, 혜택, 가격 및 구매 방법 (전국 대중교통 무제한 월 6만원)
- K패스 교통카드 신청 방법
- 2024 기후동행카드 현금영수증 국세청 홈페이지 등록 방법, 모르면 혜택 못 받아요
- 기후동행카드, K패스, 더경기패스, 인천I패스 교통카드 어떤 걸 사용하는게 유리할까?(교통비 절약 꿀팁)
728x90